책향의 세상읽기

지역언론의 편파보도와 그 대책

책향1 2010. 6. 24. 15:17

 

지역 언론의 편파보도와 그 대책

 

 

지역 언론의 편파 왜곡보도 문제는 고질적이다. 지역에서 신문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일부 신문들의 보도 행태는 더욱 그러하다. 그들은 "알권리" 를 운운하면서 자신들의 이념 또는 정파적 시각이나 이해관계에서 보도와 논평을 하며, 그러한 정파성이나 이해관계를 은폐 또는 정당화하기 위해 사실을 조작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강하다. 자신들의 여론 독점력 유지나 사주의 의도, 상업적 측면에서 독자층 유지를 위해서 특정한 사건이나 계기가 주어졌을 때 기사를 윤색하거나 더욱 편파적이기도 하다. 특히 선거 관련보도에서 사시적 편파성 등으로 영향력을 극대화시키려는 성향이 짙다. 매체의 영향력 유지를 위해 기사의 선택과 배제, 기사취사권을 이용한 편파 왜곡보도는 일상적이다. 지속적인 왜곡 보도에는 자기 합리화와 자기 보호 의도가 강하다. 의제설정 단계부터 사실과 인과관계를 교묘히 왜곡하는 전략도 구사되고 있다. 특히 언론에 광고주의 영향력이 막강해지면서 경제 권력의 입맛에 맞게끔 뒤틀린 기사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극심한 상업주의화, 자사 이기주의에 따른 언론인들의 윤리의식 저하로 내외부의 비판을 묵살하고 비정상적 보도행태를 방조하거나 악용하는 경향이 있다. 근원적 요인을 안고 있는 편파 왜곡보도의 일상화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나 제어 매체가 지역에  없기 때문이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지면평가위원회, 옴부즈맨 제도 등으로 독자 불만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제3의 기구가 아니므로 형식적이거나 실효성이 없다. 또 의도적인 오보와 왜곡 보도 등에 따른 피해구제방안에 많은 미비점이 있어 현실적인 제어 기능을 못하고 있다. 정정보도의 경우 중재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지만 언론사를 상대로 언론 피해자가 승소해도 피해 보상액이 낮고  변호사의 수임료보다 적기 때문에 실익이 없고 언론사에 타격이 적은 점이 더욱 편파성을 키우고 있다.

일부 언론, 특히 지역에서 영향력이 큰 시장 지배적 언론의 편파 왜곡 보도 행태는 사회 전반에 미치는 폐해가 심각하다. 단순히 보도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민을 피해자로 만들면서 지역사회의 건강성을 갉아먹는 독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역에서 정치인들의 논리는 많은 영향력이 있다. 지역 정치인의 힘에 의해 왜곡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선거보도는 그 결과에 따라서 신문의 존폐도 걱정해야 한다. 따라서 언론들이 정치인 선택의 기회인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선택권에 굴절된 영향력을 미치려  늘 시도 해왔다.

정치보도에 있어서도 일부 언론의 정파적 보도 행태와 정치집단과의 동일시 현상 속에서 민주주의의 발전과 정치개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측면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런 현상은 사주나 편집국장의 성향이 강하게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영세한 지역 언론사, 특히 한 두명의 인터넷 신문에서 현실적으로 편집권 독립이나 언론자유는 사치이거나 자신들의 방패막이일 경우가 많다. 사주의 성향을 거역할 만한 자질을 갖춘 기자를 뽑거나 교육은 경제 상황상 어렵다. 기자 개개인의 양심에 의한 언론의 내적 자유인 편집권이 사주의 경영논리에 의해 예속될 때 기사왜곡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알 권리라는 공익이 유린당할 수밖에 없다.

 이런 현상의 예방을 위해 우선 독자의 권익보호 조항 신설과 독자위원회 기능강화, 그 의견이 편집에 반영되고 왜곡보도 등에 따른 독자의 권리침해에 대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언론의 고의적 오보나 왜곡 보도 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구제 방안과 관련된 법률은 민법, 정간법, 방송법, 형법, 공직선거 및 부정선거방지법 등으로 분산 돼 있다. 이런 법률규정을 모은 단일한 언론피해구제법의 엄격한 적용이 필요하다. 치고 빠지기 식의 인터넷 언론에 대한 피해구제의 법적 근거도 반드시 강화돼야 한다. 무엇보다 신속한 피해구제와 더불어 잘못된 보도의 확산을 막기 위한 징벌적인 제재 조치가 필요하다.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매체 간 비평 역시 중요하다. 한국 언론은 전반적으로 오보나 왜곡보도에 대한 사과와 정정에는 극히 인색한 편이다. 내부의 문제 제기도 미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매체간 상호 비평은 서로의 보도 행태에 대한 점검과 자기 반성과 사고의 외연을 넓힐 기회를 제공한다. 각종 권력과 환경에 대한 감시와 비판 기능을 수행해야 할 언론이라고 해서 자신들의 흠결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타 매체나 사회 단체 등의 건전한 비판에  귀를 열고, 잘못된 부분은 겸허하게 인정하고  되풀이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절실하다.

2010.06.24 15:17 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