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거두절미와 침소봉대는 우리나라 언론의 '주홍 글씨' 격이다. 이런 언론의 신뢰도 추락은 당연하고 그 원인으로 편파성과 생존 경쟁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지역 언론의 편파 보도 문제는 더 고질적이다. 지역에서 신문시장을 독과점한 일부 신문은 늘 "(독자들의) 알권리" 운운하면서 자신들의 이념 또는 정파적 시각, 이해관계에서 보도와 논평을 하며, 그것을 은폐 또는 정당화하기 위해 일부 사실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강했다. 특히 선거 관련보도에서 편파적으로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성향이 짙었다.
매체의 영향력 유지를 위해 기사취사권을 남용한 편파 왜곡보도는 큰 문제다. 언론들의 빗나간 공명심으로, 자사 이기주의에 따른 언론인들의 윤리의식 저하로 내외부의 비판을 무시하고 비정상적 보도행태를 방조하거나 악용하는 경향도 있다. 근원적 요인을 안은 편파 왜곡보도의 일상화를 제어할 수 있는 내부 기자의 양심 부족과 외부의 효율적인 제도나 제어 매체가 지역에 없기 때문이다.
언론에서 보도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지면평가위원회, 옴부즈맨 제도 등으로 독자 불만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제3의 기구가 아니므로 형식적이거나 실효성이 없다. 또 의도적인 오보와 왜곡 보도 등에 따른 피해 구제방안에 많은 미비점이 있어 현실적인 제어 기능을 못하고 있다. 법적인 제소도 언론 피해자가 승소에 따른 보상액이 낮고 변호사 비용보다 적기 때문에 실익이 없고 언론사에 타격이 적은 점이 더욱 편파성을 키우고 있다.
특히 지역에서 영향력이 큰 시장 지배적 언론의 편파 왜곡 보도 행태는 사회 전반에 미치는 폐해가 심각하다. 단순히 보도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민을 피해자로 만들면서 지역사회의 건강성을 갉아먹는 독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독자들에게 보상은커녕 도리어 신문발전기금 등 특혜만 받으려 안달이다.
왜곡 가능성이 가장 큰 선거보도는 그 결과에 따라 신문의 존폐도 걱정해야 한다. 따라서 언론들이 정치인 선택의 기회인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선택권에 굴절된 영향력을 미치려 늘 시도해왔다. 일부 언론의 정파적 보도 행태로 정치집단과 동질시 되는 현실에서 민주주의의 발전과 정치개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측면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런 현상은 사주나 편집국장의 성향이 강하게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영세한 지역 언론사, 특히 한두 명의 인터넷 신문에서 현실적으로 편집권 독립이나 언론자유는 사치이거나 자신들의 방패막이일 경우가 많다. 사주의 성향을 거역할 만한 자질을 갖춘 기자를 뽑는 일은 여건상 어려워 보인다. 기자 개개인의 양심에 의한 편집권이 사주의 경영논리에 의해 예속될 때 기사왜곡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국민의 알 권리라는 공익이 유린당할 수밖에 없다.
이런 현상의 예방을 위해 독자의 권익보호 조항 신설과 독자위원회 기능강화로 의견이 편집에 반영되고 왜곡보도 등에 따른 독자들의 반론권을 보장해야 한다. 언론의 고의적 오보나 왜곡 보도 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했을 때 구제 방안과 관련된 법률이 분산돼 있다. 이 규정을 모은 언론피해구제법의 엄격한 적용과 징벌적인 제재가 필요하다.
매체 간 건전한 비평 역시 중요하다. 지역 언론은 전반적으로 오보나 왜곡보도에 대한 사과와 정정에는 극히 인색한 편이다. 내부에서 문제 제기도 미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매체 간 상호 비평은 보도 행태에 대한 점검과 자기반성, 사고의 외연을 넓힐 기회를 제공한다. 권력과 환경에 대한 감시와 비판 기능을 수행하는 언론이라 해서 자신들의 흠에 대한 비판에서 성역이 아니다. 타 매체나 독자들의 비판에 귀를 열고, 잘못된 부분의 겸허한 인정이 요구된다. 또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절실하다. 자질도 갖추기 전에 언론 자유만 외치지 말아야 한다.
/김용엽(남해향토역사관 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