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보궐 선거를 통해본 지역 신문 비판

책향1 2008. 6. 20. 16:50

보궐 선거를 통해본 지역 신문 비판


지역에서 여론을 만들고 여론의 매개체라 할  언론사에 대한 비판을 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 약간의 비애감이 든다. 지역에서 고급지는 아니지만 지역 사회의 소식을 전하고 지역민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 줄 수 있다면 좋은 언론이라 해도 좋다. 하지만 6.4 보궐 선거를 거치면서 그동안 언론들의 성향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 쉽다. 어쩌면 언론이란 테두리 안에서 "언론자유"를 외치며 사회적인 보호막에 안주하는 듯한 언론인들에게  매를 들 기회가 잘 없다.

지역에서 언론의 잘못을 지적할 만한 다른 매체나 단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이 비판을 가한다는 것도 상당한 용기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지역내에서 학연과 지연 등으로 얽히고 개인적으로 인간 관계 악화가 두렵기 때문이다. 또한 늘상 영향력 있는 홍보가 가능한 언론사와 불가능한 개인이란 한계도 있다.

이는 모두가 개인적인 이익 때문이고 전반적인 공익을 위한 잘못을 눈감아 온 지역 양심들의 관행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언론과 법인에 대한 건전한 비판에 대해 개인적으로 적대시 하는 경우가 필자의 경험이다. 즉 글과 사람을 구분해야 하지만 구분은 커녕 개인적인 의사 표시가 인간성과 동일시 하는 풍토에서 언론을 비판하기란 쉽지않다. 또한 영향력 있는 홍보가 늘상 가능한 언론사와 그게 불가능한 개인이란 한계도 있다.

이런 상황하에서 언론들의 무감각과 비이성은 지나칠 정도이다. 특히 보궐선거를 거치면서 나타난 기사의 방향이나 전현직 언론사 대표이사들의 행태는 구설수에 올랐다.

 개인의 잘잘못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책임과 지위를 통해본 언론(인)들의 바람직한 방향은 스스로를 낮추고 치기를 버리는 일이다. 

요즘 언론문제를 이야기할 때면 언론의 자유에 대한 논의는 많이 사라졌다고 생각한다. 반면 우리 언론이 무책임하고 윤리적으로 타락했으며, 정치권력에 자발적으로 협력하고, 언론 자신이 무소불위의 권력기구로 성장했다는 비판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87년 이전까지 독자와 시청자들은 정치권력이 언론에 대해 어떠한 통제나 규제조치를 내리고자 할 때 나타났던 언론자유투쟁을 거의 무조건 지지했다. 

 언론에 대한 군사독재 권력의 직접적인 통제가 줄어든 이후 많은  우리 언론도 상당한 정도의 언론자유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독자들은 윤리적이고 책임있는 언론으로 거듭나야한다는 견해를 밝히게 되었다.

 아직도 언론의 자유와 책임을 악용하는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언론자유가 언론인들이 쟁취한 것이 아니라 국민들에 의해서 였다.

특히 80년대 이후 많이 창간된 지역신문의 경우 경제적인 열악성이 이런 자유나 책임을 말하기에는 어렵다. 이런 관점에서 지역 신문들이 지역의 소식지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여부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긴다. 다만 선거철마다 반복된 지역 신문들의 사실상의 선거 개입은 정치성향이나 논조와는 별도로 많은 시비거리를 낳았음은 부인하기 힘들다.

경제적인 열악성과 대표이사의 성향에 따라 바뀌는 신문의 논조는 어쩌면 지역에서는 원죄에 가깝다. 사실 지역에서 선거 개입을 통해서 신문의 위상제고를 통한 경제성 확보를 우선적으로 노린다고 할 만하다.

지역신문 현실을 보면 대충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다만 이런 와중에서도 얼마만큼 조화롭게 성향을 나타내는 가 하는 것은 자신들의 역량에 속한다.

반면 조급하게 언론사들이 세련되지 않은 기사로 많은 독자들의 우려를 자아 내게 했음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대외적으로 "언론자유"니 대내적으로 "편집권 독립"을 너무 자주 애용하여 자신들의 보호막으로 삼는 경우도 허다하다. 사실상 인사권을 쥔 대표이사가 "발행인 칼럼"이나 "눈두렁 밭두렁"으로 지면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입김을 무시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신문사의 성향으로 나타난다.

대표이사의 성향에 따라 바뀌는 언론논조는 독자들의 눈에는 정체성의 결여이다. 과연 이 신문이 무었을 노리는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종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지역에서 영리기업 중 하나인 언론사는  기업의 이익에서 따져 보았을 때 자체 자산과 규모에 비해서 영향력과 파급효과 역시 큰 편이다.

 언론의 자유가 법으로 보장된 대한민국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올바른 정보를 국민에게 최대한 공정하게 전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그런만큼 노블리스를 가진 그들에게 오블리주는 잘 보이지 않았다.

  언론은 국민의 대변자로 불릴 만큼 그 명예가 높은 만큼 책임의식이 강해야 하는 분야이다. 국민을 이윤 창출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영리 기업으로서 언론사가 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오블리주는 존재 할 수 없어 보인다.

언론은 지역을 위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인기영합 보도보다 정확한 보도와 정보 전달이라는 본연의 의무를 되찾아야 한다.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할 수 있는 교육적이며 유익한 구성을 확보하고, 미디어를 쉽게 접하기 어렵고 세습적으로 사회 약자 위치에 서는 소수의 어려운 이웃도 함께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지만 편애는 금물이다.

 지역 언론이 하루 빨리 실추된 자신들의 명예를 되찾고 그들의 오블리주를 모두가 칭찬할 수 있는 사랑스러운 신문은 그리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잉크에 혼을 불어 넣은 지역의 '탁본'을 기대한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려되는 "촛불끄기"  (0) 2008.06.25
주성영의원 단상  (0) 2008.06.22
계파 수장이라, 그만 둬야 할 깎아내리기  (0) 2008.06.16
그리움  (0) 2008.06.15
무소속 정현태 압승의 의미  (0) 2008.06.05